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나수지 / ETF 초보자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질문 / 메이트북스 / 2021
    책 독서/경제 2025. 2. 2. 20:10
    반응형

     

     

    1. 날짜: 250126
    2. 주제: ETF에 대한 모든 것
    3. 태그: #투자
    4. 생각:

    -ETF는 은행의 신탁으로 매수하면 저렴한 수수료와 실시간 거래 이점을 모두 놓치게 되므로 은행 창구를 통한 거래는 하지 말자.

    -ETF는 스프레드 작은 것, 괴리율 작은 것, 순자산가치, 거래량을 보고 매매하자

    -거래는 총 3가지 방법: 현물거래 / 신용거래 / 선물거래(증거금 10%만 내고 미래에 정해진 가격에 상품이나 주식을 받는 것)

    -ETF 는 상장지수펀드 / 자산운용사에서 만듬 / 자산운용사 망하더라도 손해는 아님(실제 주식을 쪼개서 나눠줄 수 있음)

    -ETN 은 상장지수증권 / 증권사에서 만듬 / 수익을 증권사가 주겠다고 약속하는 거라 증권사 망하면 돌려받지 못함 / 만기도 있음

    -ELS(EQUITY LINKED SECURITIES) 박스권 안에서는 수익나지만 변동성이 크면 큰 손실이 나는 중수익상품

    -ETF는 선물 또는 현물을 담을 수 있음. 운용사 입장에서는 선물이 운용하기 간편하고 추가 수익, 환헤지 가능하지만 / 퇴직연금계좌에서는 투자하기가 어렵고 롤오버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

    -커버드콜ETF는 횡보장, 박스권에서 주식을 매수하면서 동시에 콜옵션을 매도해(프리미엄 수익) 수익률을 추구하는 구조.
    예로 타이거200커버드콜5%면 5%미만으로 지수가 제자리거나 상승하면 수익발생, 5%이상으로 지수가 올라가면 손해(콜옵션 매도에서 손실). 비슷한 상품으로 '양매도ETN'은 콜과 풋옵션을 양쪽에서 모두 매도. 주식은 담지 않음.

    -도움되는 홈페이지 : 세이브로, ETF CHECK, ETF.COM

    -미국 주식 세제상 손실 보고있더라도 팔았다가 다시 사는 게 유리.
    (결제일 기준으로 1년 결산이기 때문에 12월 말 일주일 전 매매 완료하는 게 좋음)

    -주요 글로벌 펀드는 MSCI (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) 지수 기준으로 투자 성과 측정. 패시브는 MSCI 지수를 따라가고, 액티브는 이보다 더 높은 수익률로 성과를 판단함.

    -금은 달러 가치와 반대로 움직임 (같은 안전자산 안에서도 상대적인 차이) / 금 투자는 한국거래소 금시장에서 금을 사고 파는 게 세금면이나 수수료 면에서 가장 저렴.

    -단기채일수록 만기에 돈을 못 받을 위험이 적기 때문에 금리가 낮고, 장기채는 금리 높음. 보통 3년 만기 국고채를 기준으로 삼음(유통량 많고 발행도 가장 많이 되므로 기준점 역할)

    -ETF 분배금도 주식과 마찬가지로 배당소득세 15.4% 과세 대상임. 연 2천만 원 이상 금융 소득이 있는 사람이라면 금융소득종합과세에 포함. 이 세금 피하려며 분배금 기준일 2거래일 전 ETF를팔고 배당락일에 다시 매수!
    예로 1만원 ETF를 분배금 500원 지금하는 기준일이 있는데 분배금 지급하고 그 다음날 9500원이 됨. 그러면 한 주와 분배금 15.4% 세금 떼고 남은 423원을 손에 쥐는데 분배금 기준일 전 매도하고 분배락 후 재매수하면 500원을 온전히 이익 가질 수 있음.

    -레버지리는 횡보장, 박스장, 장기투자에서 최악인 선택.
    단타로 상승장이 강할 때만 짧고 굵게!

    -장 시작 후 5분까지와 장 마감 10분 전 거래는 하지 마라! 이때는 LP가 일하지 않는 시간대이므로 호가를 대줘야하는 의무 면제 시간!

     
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